본문 바로가기
난임일기

난임의 기본 검사, 자궁난관조영술, 나팔관조영술 후기

by I가보자고I 2024. 2. 21.

원래 임신은 난송서 배란된 난자가 난관에서 정자와 만나고 수정란이 되는 데서부터 시작이다. 

난관(나팔관)이 막혀있다면 난자와 정자가 만날 길이 없어 자연임신이 불가능하다. 

그렇다보니 난관이 잘 뚫려 있는지 확인하는 자궁난관조영술(나팔관 조영술) 은 난임 검사 중에서도 매일 중요하고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라고 할 수 있다. 

나팔관조영술(Hysterosalpingography, HSG)은 자궁과 난관의 형태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방사선학적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주로 불임의 원인을 찾거나, 자궁 내 이상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나팔관조영술은 대조제를 사용하여 자궁과 난관을 X-레이 영상으로 시각화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 검사를 통해 난관의 막힘, 자궁 내 이상 조직, 혹은 기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검사 절차

  1. 검사 전 준비
    • 검사 전 의사와 상담을 통해 검사 절차, 위험성, 준비사항에 대해 안내받습니다.
    • 특정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검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 검사는 주로 생리주기의 초반에 시행되며, 임신 가능성이 없는 시기를 선택합니다.
  2. 검사 과정
    • 환자는 엑스레이 테이블 위에 누워서 하반신을 드러냅니다.
    • 의사는 질을 통해 자궁경을 삽입하고, 자궁 내에 방사선 대조제를 주입합니다. 이 대조제는 자궁과 난관을 따라 흘러가며, X-레이 영상에서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합니다.
    • 대조제가 주입된 후, X-레이 영상을 촬영하여 자궁과 난관의 모양과 상태를 확인합니다.
  3. 검사 후 주의사항
    • 검사 후에는 대조제가 자연적으로 몸에서 배출됩니다. 몇 시간 동안 하복부에 약간의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소량의 질 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검사 후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특정 기간 동안 성관계를 피하라는 지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검사의 목적

  • 난관의 통과 여부 확인: 난관이 막혀 있으면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일어나지 않아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자궁 내 이상 진단: 자궁 내 폴립, 자궁선근증, 자궁 내막증 등 자궁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궁의 형태 평가: 자궁의 기형이나 구조적 문제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위험 및 부작용

나팔관조영술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지만, 드물게 다음과 같은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대조제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 자궁이나 난관의 감염
  • 경미한 출혈

 

나팔관 조영술 통증은 어느 정도 ?

나팔관 조영술은 아프다는 사람도 있고, 하나도 안 아프다는 사람도 있고 너무 개인마다 차이가 난다. 

결론적으로 나는 전혀 아프지가 않았다. 그냥 아무런 느낌도 나지 않았음... 

 

조영술을 할 때는 자궁 경부를 통해 조영제를 넣어서 자궁에서 나팔관으로 빠져나가는 모습을 엑스레이로 촬영한다. 검사할 때 아랫배에 생리통처럼 뻐근한 불편감이 느껴질 수 있어서 검사전에 미리 진통제를 먹기도 한다. 만약 나팔관이 막혀 있다면 자궁강 내로 투여한 조영제가 자궁을 늘어나게 하면서 통증을 느낄 수 있다. 막혀있는 나팔관 때문에 늘어난 자궁이 제자리를 찾지 못한 상태에서 오래 지속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팔관이 잘 개통되어 있다면 지속적으로 늘어난 자궁은 곧 제자리를 찾는다. 그래서 통증이 오래가지 않는다. 

 

나팔관조영술(HSG)은 개인마다 통증의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대부분의 환자는 검사 중에 약간의 불편함이나 경미한 통증을 경험합니다. 대조제가 자궁 내로 주입될 때 느끼는 통증은 일반적으로 생리통과 비슷하게 묘사됩니다. 이러한 불편함은 대조제가 주입되는 동안 가장 강하게 느껴지며, 검사가 끝난 후에는 대부분 빠르게 감소합니다.

 

검사 후 몇 시간 동안은 하복부에 약간의 경련이나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대부분 자가 관리로 충분히 해결될 수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검사 후에도 하루나 이틀 정도 경미한 통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검사 전 진통제 복용: 의사의 지시에 따라, 검사 전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같은 진통제를 복용하면 검사 중 및 후에 느낄 수 있는 통증이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이완 기법 사용: 검사 중에 깊은 호흡이나 이완 기법을 사용하면 긴장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검사 후 휴식: 검사 후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필요한 경우 진통제를 추가로 복용할 수 있습니다.

 

 

자궁난관조영술과 자궁난관조영초음파의 차이

 

자궁난관조영술(Hysterosalpingography, HSG)과 자궁난관조영초음파(Sonohysterography or Saline Infusion Sonography, SIS)는 자궁과 난관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다른 의료 영상 검사입니다. 각 검사는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여성의 생식 기관을 시각화하고, 불임 조사나 자궁 내 이상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두 검사의 주요 차이점은 사용하는 영상 기술, 검사 과정, 그리고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입니다.

자궁난관조영술 (HSG)

  • 기술: X-레이를 사용하여 자궁과 난관을 영상화합니다. 대조제(보통 요오드 기반)를 자궁 내에 주입하여 자궁과 난관의 내부를 X-레이 영상으로 촬영합니다.
  • 목적: 주로 난관의 개통성(통과 여부)을 평가하고, 자궁 내 이상(예: 자궁 내막 폴립, 섬유종, 기형 등)을 확인합니다.
  • 통증: 검사 중 약간의 통증이나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자궁난관조영초음파 (SIS)

  • 기술: 초음파 영상과 함께 생리식염수나 특수한 용액을 자궁 내에 주입하여 자궁 내부 구조를 더 잘 볼 수 있게 합니다. 이 방법은 자궁 내막과 자궁벽의 이상을 시각화하는 데 유용합니다.
  • 목적: 자궁 내 이상(예: 폴립, 섬유종, 자궁 내막의 이상 등)을 확인하고, 자궁의 형태와 내막 상태를 평가합니다. 난관의 개통성을 평가하는 데는 HSG보다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통증: HSG에 비해 통증이나 불편함이 덜합니다.

주요 차이점

  • 영상 기술: HSG는 X-레이를, SIS는 초음파를 사용합니다.
  • 대조제: HSG에서는 요오드 기반 대조제를 사용하는 반면, SIS에서는 생리식염수나 다른 용액을 사용합니다.
  • 평가 정보: HSG는 주로 난관의 개통성과 자궁 내 이상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SIS는 자궁 내막과 자궁벽의 상세한 영상을 제공합니다.
  • 통증과 불편함: 일반적으로 HSG가 SIS보다 더 많은 통증이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검사 전후에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고, 모든 지시사항을 정확히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결과는 자궁과 난관의 상태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불임 치료나 기타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